반응형

개발 창고/Server 75

[Linux] How to use "grep" command

How to use "grep" command How to use "grep" command grep의 종류 사용 문법 사용 예시 리눅스 시스템의 CLI(Command-Line Interface) 환경에서 명령의 결과는 console로 결과가 나옵니다. (옵션에 따라 로그 파일이나 출력되지 않도록도 가능합니다.) 이 console의 결과가 적을 때는 사용자가 탐색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방대한 양의 결과에서 특정 문자열이나 패턴을 갖는 라인을 찾는 경우에는 쉽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 사용 가능한 명령어가 grep 입니다. grep의 종류 grep 종류 내용 정규표현식 사용가능 여부 grep 다중 패턴 검색 O egrep 정규 표현식 패턴 검색 O fgrep 문자열 패턴 검색 X 사용 문법 주요 옵션..

[Linux] How to configure a Home Create file

How to configure a Home Create file 리눅스 시스템에서 계정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특별한 옵션 없이 useradd를 하게 되면 /home 밑에 사용자 계정으로 디렉터리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 안에 기본적으로 3개의 숨김 파일(콤마(.)로 시작하는 파일)이 생성됩니다. 내용 .bash_logout 로그아웃 시 실행되는 파일 .profile 로그인 시 실행되는 파일 (.bash_profile도 동일) .bashrc .profile에 의해 실행되고 alias나 함수 등을 설정하는 파일 /etc/skel/ 디렉토리 해당 디렉터리 내 파일들은 계정을 생성될 때 각 사용자별 홈 디렉터리에 복사됩니다. skel은 skeleton(뼈대)라는 뜻으..

[AWS] Light Sail에서 WordPress를 구축하는 방법

To Build WordPress 여러 방법으로 WordPress를 운영하는 방법이 있겠지만, 여기에서는 AWS의 LightSail을 이용하여 WordPress를 구축해볼 예정입니다. 1. LightSail 생성 https://lightsail.aws.amazon.com/ls/webapp/home/instances https://lightsail.aws.amazon.com/ls/webapp/home/instances lightsail.aws.amazon.com 저는 리눅스 환경에서 워드프레스를 실행시키기 위해 Platform을 "Linux/Unix"로 선택했고, blueprint를 "Apps + OS"의 "WordPress"로 선택했습니다. 그 다음 부분은 대부분 추가적인 사항들이라 우선 무시하고 가격 ..

[Nginx] PayloadTooLargeError: request entity too large

# nginx 설정 $> sudo vi /etc/nginx/nginx.conf http { ... client_max_body_size 20m; ... } # 설정오류 체크 $> sudo nginx -t # nginx 재시작 $> sudo systemctl restart nginx 2023.03.05 - [개발 창고/NodeJS] - [NodeJS] PayloadTooLargeError: request entity too large [NodeJS] PayloadTooLargeError: request entity too large express에 editor에서 전달된 정보를 전달하다 보니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request의 payload (Post의 request body) 내용을 ..

[Ubuntu] root 계정 비밀번호 변경

$> sudo passwd root 간혹 가다 root 계정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곤 합니다. 이 경우 위와 같이 명령을 실행해 주면 root 계정의 비밀번호 변경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이 사용자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 변경입니다. $> sudo passwd 사용자계정 New password: (신규비밀번호) Retype new password: (신규비밀번호재입력) successfully 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변경됩니다.

[Ubuntu] crontab 사용하기

# crontab 확인 $> cat /etc/crontab # crontab 생성 $> sudo vi /etc/crontab */5 * * * * root echo $(date +%F) >> /var/log/cronmsg # cron service 재시작 $> sudo systemctl restart cron.service # cron 실행 확인 $> sudo tail -f /var/log/syslog # 실행 로그 확인 $> sudo cat /var/log/cronmsg 1/ crontab 확인 $> cat /etc/crontab 2/ job 등록 $> sudo vi /etc/crontab 매 5분마다 시간 정보를 /var/log/cronmsg에 등록하도록 작업했다 일반적으로 등록방법은 분(0-59) ..

[Ubuntu] Gateway 확인

$> ip route Window에서는 command창에서 ipconfig만 쳐도 게이트웨이를 확인 가능하지만 ubuntu의 경우 ifconfig를 해도 게이트웨이 확인이 어렵습니다. 때문에 Gateway 확인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3개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route $> netstat -r $> ip route 여기에서 route와 netstat -r은 동일한 결과가 나옴을 확인 가능하며, Flags가 의미하는 바는 아래오 같습니다. 여기서 UG는 (route is up + use gateway)가 되므로 Flags가 UG로 되어있는 게 사용 중인 게이트웨이라고 보면 됩니다. 참고로 netstate와 ifconfig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 sudo apt-get..

[Ubuntu] timezone 변경하기

$> sudo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Timezone 확인 서버를 처음 설치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UTC timezone을 사용하게 됩니다. $> timedatectl 이는 timezone 설정을 관리하는 /etc/localtime에 심볼릭 링크로 UTC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ls -l /etc/localtime 만약 원하는 timezone이 있다면 아래 명령을 통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 timedatectl list-timezones | grep Seoul 저는 timezones 목록 중에서 Seoul만 추출하였지만,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 timedatectl list-timzezones 호출 해도 됩니다. Timezone 설정 원하는 Tim..

[Ubuntu] 현재 폴더의 폴더 / 파일 개수 확인하기

# 하위 포함 전체 폴더 개수 (현재 폴더 (1) + 현재 폴더 내 폴더 개수 + 하위 폴더 내 폴더 개수) $> find . -type d | wc -l # 하위 포함 전체 파일 개수 (현재 폴더 내 파일 개수 + 하위 폴더 내 파일 개수) $> find . -type f | wc -l # 현재 폴더 내 폴더 개수 $> ls -l | grep ^d | wc -l # 현재 폴더 내 파일 개수 $> ls -l | grep ^- | wc -l Shell Script를 작성하거나 파일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현재 폴더 내 폴더 수량이라 파일 수량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 경우 해당 명령을 사용하여 파악 가능 합니다. ※ find . -type d | wc -l에서 현재 폴더도 폴더 개수에 ..

[Ubuntu] Cannot initiate the connection to kr.archive.ubuntu.com:80

# apt library source config 파일 open $> sudo vi /etc/apt/sources.list # vi 편집기에서 경로 일괄 변경 :%s/kr.archive.ubuntu.com/mirror.kakao.com/g # apt update $> sudo apt-get -o Acquire::ForceIPv4=true update Ubuntu에서 apt를 통하여 설치하려는 경우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는 해당 서버에서 library를 가져오는데 timeout이 발생하여 발생하곤 합니다. 이 경우 ubuntu서버에서 kakao서버 쪽으로 변경해 주면 잘됩니다. (case by case) $> sudo vi /etc/apt/sources.list 일괄 변경 : %s/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