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561

ML 성능과 효율을 동시에, LoRA(Low-Rank Adaptation) 완벽 분석

TL;DR LoRA(Low-Rank Adaptation)는 사전 훈련된 대규모 머신러닝 모델의 모든 가중치를 재훈련하는 대신, 일부 가중치 행렬에 작은 규모의 '어댑터' 행렬을 추가하여 학습시키는 파라미터 효율적 파인튜닝(PEFT) 기법입니다. 이 방식은 기존 모델의 가중치는 동결(freeze)시킨 채, 주입된 저차원(low-rank) 행렬만을 학습 대상으로 삼습니다. 결과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파라미터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GPU 메모리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훈련 시간을 단축하며, 파인튜닝된 모델의 저장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LoRA란 무엇인가: 거대 모델을 효율적으로 길들이는 법대규모 언어 모델(LLM)이나 이미지 생성 모델은 수십억 개에서 수천억 개의 파라미터를 가집니다. 특정 도메인이나..

개발 창고/AI 2025.10.07

에이전틱 AI(Agentic AI)란?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AI 에이전트 개념, 사례 총정리

TL;DR: 에이전틱 AI는 단순히 명령에 응답하는 것을 넘어,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짜고,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AI 시스템입니다. LLM을 '두뇌'로 사용해 추론하고, 외부 도구를 활용하며, 과거의 경험을 '기억'하여 복잡한 다단계 작업을 사람의 개입 없이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챗봇을 넘어, 특정 작업을 자율적으로 완수하는 'AI 직원'에 가까운 개념이며, AI 기술의 중요한 진화 방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에이전틱 AI(Agentic AI)란 무엇인가?에이전틱 AI(Agentic AI)는 '에이전트(Agent)'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주체성(Agency)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인공지능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AI가 주로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하거나 주어진 명령을 수동적으..

개발 창고/AI 2025.10.06

텐센트 Hunyuan-DiT: Sora와 동일 아키텍처의 이미지 생성 AI

TL;DR: 텐센트가 공개한 텍스트-이미지 생성 모델 Hunyuan-DiT는 OpenAI의 비디오 생성 모델 Sora와 동일한 핵심 아키텍처인 DiT(Diffusion Transformer)를 채택했습니다. 이 아키텍처 덕분에 뛰어난 확장성과 성능을 보여주며, 복잡한 문장을 정확하게 이미지로 구현하는 '구성 능력(Compositionality)'이 강점입니다. 특히, 중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깊이 이해하는 이중 언어 인코더를 탑재하여, 문화적 맥락까지 섬세하게 표현하는 고품질 이미지 생성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Sora와 같은 심장을 가진 이미지 생성 AI, Hunyuan-DiTAI 이미지 생성 분야의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의 기술 대기업 텐센트(Tencent)가 주목할 만한 모델인 Hunyuan-..

개발 창고/AI 2025.10.04

OpenAI Sora 2 출시: 향상된 물리엔진과 오디오 동기화 심층 분석

TL;DR: 2025년 9월 30일, OpenAI가 차세대 비디오 생성 모델 Sora 2와 iOS 소셜 앱 'Sora'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Sora 2는 기존 모델 대비 물리적 현실성을 대폭 강화하여, 객체가 상호작용하고 실패하는 과정까지 현실적으로 시뮬레이션합니다. 가장 큰 혁신은 영상과 완벽하게 동기화된 음향(오디오)을 동시에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함께 출시된 소셜 앱을 통해 사용자는 AI 생성 장면에 자신을 '카메오'로 삽입하고 다른 창작물의 리믹스가 가능해져, AI 영상 제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Sora 2, 현실을 모방하는 AI의 새로운 도약2025년 9월 30일(현지시간), OpenAI는 라이브스트림 이벤트를 통해 많은 기대를 모았던 차세대 텍스트-비디오(Text-to-Vi..

개발 창고/AI 2025.10.04

Claude Sonnet 4.5: 향상된 코딩 및 AI 에이전트 기능 심층 분석

설명: 2025년 9월 30일 Anthropic이 발표한 최신 대형 언어 모델(LLM) Claude Sonnet 4.5의 주요 특징을 분석합니다. 향상된 코딩, 추론 능력과 AI 에이전트 구축 기능이 개발자 및 기업 환경에 미칠 영향을 이전 모델과 비교하여 자세히 살펴봅니다.TL;DR: Anthropic이 2025년 9월 30일, 최신 대형 언어 모델(LLM)인 Claude Sonnet 4.5를 공개했습니다. 이 모델은 이전 버전에 비해 코딩, 다단계 추론, AI 에이전트 구축 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고 외부 도구를 통합하는 능력이 강화되어, 개발자들이 실세계 문제를 해결하는 AI 애플리케이션을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프로토타이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nthro..

개발 창고/AI 2025.10.01

docker build 명령어 완벽 가이드: Dockerfile로 이미지 만들기

설명 (Description): docker build 명령어의 사용법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빌드 컨텍스트(Build Context), Dockerfile, 태그(-t) 지정, 주요 옵션(-f, --build-arg) 활용법과 빌드 최적화 팁을 예제 코드와 함께 설명합니다.TL;DR: docker build는 Dockerfile이라는 설계도와 '빌드 컨텍스트'라는 재료를 사용해 도커 이미지를 생성하는 핵심 명령어입니다. 명령어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경로(예: .)는 빌드에 필요한 파일들이 담긴 컨텍스트를 지정하며, -t 옵션으로 이미지에 이름과 태그를 부여합니다. 빌드 과정은 Dockerfile의 각 명령어를 한 줄씩 실행하며 레이어(Layer)를 쌓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dockerignore 파일을 ..

도커(Docker)란 무엇인가: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 완벽 입문

설명 (Description): 초보자를 위해 도커(Docker)의 핵심 개념과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을 설명합니다. 도커 이미지, 컨테이너, Dockerfile의 작동 원리와 가상 머신(VM)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세요.TL;DR: 도커(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배포, 실행하기 위한 개방형 플랫폼입니다. 이는 '컨테이너'라는 격리된 환경에 애플리케이션과 모든 종속성을 패키징하여, 어떤 환경에서든 동일하게 실행되도록 보장합니다. 기존의 가상 머신(VM)이 무거운 게스트 운영체제(Guest OS)를 포함하는 것과 달리, 도커 컨테이너는 호스트 OS의 커널을 공유하여 매우 가볍고 빠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내 컴퓨터에서는 잘 되는데..."라는 고질적인 ..

쿠버네티스 인그레스(Ingress): 완벽 가이드 (NGINX 예제 포함)

설명: 쿠버네티스 인그레스(Ingress)의 개념, 작동 방식, 그리고 NGINX 인그레스 컨트롤러를 사용한 실용적인 예제를 통해 외부 트래픽을 클러스터 내부 서비스로 라우팅하는 방법을 심층적으로 알아봅니다. 실무자를 위한 핵심 가이드입니다. TL;DR: 쿠버네티스 인그레스(Ingress)는 클러스터 외부의 HTTP 및 HTTPS 트래픽을 클러스터 내부 서비스(Service)로 연결하는 규칙의 집합을 정의하는 API 객체입니다. 인그레스는 L7 로드 밸런서 역할을 수행하며, URL 경로 및 호스트 이름 기반 라우팅, SSL/TLS 종료, 가상 호스팅 등의 고급 기능을 제공합니다. 인그레스 리소스가 실제로 동작하려면 NGINX, Istio, Traefik과 같은 인그레스 컨트롤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는..

쿠버네티스 볼륨 완벽 가이드: PV, PVC, StorageClass 개념 분석

설명 (Description):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 데이터 영속성을 보장하는 볼륨(Volume)의 핵심 개념을 알아봅니다. PV, PVC, StorageClass의 관계와 동작 방식을 명확한 YAML 예제와 함께 실무자 수준에서 상세히 설명하여 안정적인 애플리케이션 운영을 돕습니다.TL;DR: 쿠버네티스 볼륨(Volume)은 컨테이너의 비영속적인 파일 시스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드(Pod)에 영구적인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핵심 기능입니다. 파드가 재시작되어도 데이터가 보존되도록 합니다. 스토리지 관리는 주로 PersistentVolume(PV), PersistentVolumeClaim(PVC), StorageClass 세 가지 오브젝트를 통해 추상화됩니다. 관리자는 PV로 실제 저장소..

개발 창고/AI 2025.09.22

쿠버네티스 노드포트(NodePort)란? 개념, 동작 방식 및 사용 사례 완벽 분석

설명 (Description): 쿠버네티스(Kubernetes) 노드포트(NodePort) 서비스의 개념과 핵심 동작 원리를 알아봅니다. ClusterIP, LoadBalancer와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명확한 YAML 예제를 통해 실무 사용법과 주의사항까지 실무자 수준에서 상세히 설명합니다. TL;DR: 쿠버네티스 노드포트(NodePort)는 클러스터 외부에서 내부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각 노드(Node)의 특정 포트를 개방하는 서비스 타입입니다. 모든 노드는 동일한 포트 번호(기본 범위: 30000-32767)를 사용하며, 사용자는 : 주소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노드포트는 주로 개발, 테스트, 데모 환경에서 서비스를 외부에 빠르고 간단하게 노출시킬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프로덕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