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 창고 420

[Linux] How to use "smbclient" command

How to use "smbclient" command 사용 문법 사용 예시 How to use "smbclient" command 이전 글에서 samba 설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samba에 클라이언트로 접속하는 명령인 smbclient에 대해 알아봅니다. 사용 문법 주요 옵션 내용 -M --message=HOST 지정한 호스트 에게 메시지 전송 명령 입력 후 [CTRL] + [d]로 발송 -L --list=HOST 접속하려는 삼바 서버의 공유 디렉토리 목록 조회 -U --user=[DOMAIN/]USERNAME[%PASSWORD] 접속하려는 삼바 서버의 계정 정보 입력 사용 예시 ▶ 원격서버 192.x.x.x 에 administrator 계정으로 목록 확인 $> smbclient..

[Linux] How to use iptables

How to use iptables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tables 사용 예시 How to use iptables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방화벽 관리 도구입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고 보안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iptables는 패킷 필터링, 패킷 수정, 패킷 로깅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네트워크 통신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iptables는 명령줄 인터페이스(CLI, Command-Line Interface)를 통해 구성되며, 사용자가 정의한 규칙에 따라 패킷을 처리합니다. 시스템 관리자는 iptables를 사용하여 원하는 대상과 포트에 대한 액세스 규칙을 설정하고, 불필요한 ..

[Linux] How to set up FTP and view logs

How to use FTP log FTP 설치 FTP 설정 FTP 로그 보기 How to use FTP log 로그 파일 중 vsftpd의 로그는 /var/log/xferlog에 쌓입니다. FTP 설치 # 우선 최신 버전을 볼 수 있게 apt를 update 해줍니다. $> apt-get update # vsftpd 데몬을 설치해줍니다. $> atp-get install -y vsftpd FTP 설정 # vsftpd 설정 파일의 권한 확인 $> ls -alt /etc/vsftpd/vsftpd.conf # root권한으로 설정 오픈 $> sudo vi /etc/vsftpd/vsftpd.conf anonymous_enable=NO local_enable=YES write_enable=YES local_umas..

[Linux] How to set up samba

How to set up samba smb.conf How to set up samba 삼바는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1991년 호주의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앤드루 트리젤이 개발하였다. 위키백과 "삼바 (소프트웨어)" smb.conf $> cat /usr/share/samba/smb.conf # # Sample configuration file for the Samba suite for Debian GNU/Linux. # # # This is the main Samba configuration file. You should read the # smb.conf(5) manual ..

[Linux] How to run in the background and foreground

How to run in the background and foreground Foreground를 Background로 만드는 방법 Background를 Foreground로 만드는 방법 바로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는 방법 확장 내용 How to run in the background and foreground 리눅스에서 프로그램을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에는 크게 백그라운드와 포그라운드로 나눠집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명령을 실행하여 결과를 보는 방법이 포그라운드입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nginx에 접근하는 request에 대해서 모니터링을 한다고 가정하고 실행하면 명령어를 실행한 사용자는 단순히 해당 화면을 보고만 있어야 합니다. $> sudo tail -f /var/log/nginx/access.lo..

[Linux] How to use the Signal

1/ 시그널(Singnal)이란? 2/ 시그널을 확인하는 방법 3/ SIGNAL HANDLER 1/ 시그널(Singnal)이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프로세스에 전달되는 신호(Signal) 오류 발생, 자식 프로세스의 종료, 사용자의 종료 요청 등 굉장히 작은 값 인터럽트(Interrupt)라고도 함 용도가 제한적이며 중복 시그널에 따른 원치 않는 결과가 발생하기도 함 2/ 시그널을 확인하는 방법 $> kill -l $> man 7 signal $> cat /usr/include/asm/signal.h 번호 이름 설명 기본 처리 1 SIGHUP (HUP) HangUP의 약어로 로그아웃과 같은 터미널에서 접속이 끊겼을 때 보내지는 시그널입니다. 데몬 관련 환경 설정 파일을 변경시키고 변화된 내용을..

[Linux] How to use "ss" command

How to use ss to check network sockets 주요 옵션별 수행 결과 How to use ss to check network sockets Socket Statistics의 약자로 Linux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소켓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s명령어는 netstat를 대체하기 위해 나온 명령어로 netstat보다 ss를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ss는 소켓의 상태를 덤프하는데 사용되며 netstat와 유사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다른 도구보다 더 많은 TCP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주요 옵션 내용 -n --numeric 서비스 이름을 확인하지 않음 (Service명 대신 Port를 보여줌) -a --all 모든 소켓을 표시 -l --listening ..

[Linux] How to use "arp" command

How to use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al) ARP 프로토콜 동작 순서 ARP 명렁어 How to use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주소를 MAC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메일을 보내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를 알아야 하고 전화를 하기 위해서는 전화번호를 알아야 하듯이, 시스템 간 통신을 위해서는 서로의 MAC Address를 알아햐 합니다. 하지만, 사람이 집을 찾아 이사하듯 시스템도 이사를 다니기도 하고 (A시스템을 Stand Alone에서 Cloud로 옮기거나, 서버 로드밸런싱을 위해 앞단에 L4를 두는 등의 이동), MAC Address가 들어있는 LAN카드를 교체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그러면 이 때마다 송신자가 수신자..

[Linux] How to check account information

How to check account information /etc/passwd How to check account information Window에서 관리자 계정인 Administrator와 사용자 계정으로 나눠지듯이 Linux System에서는 관리자 계정인 root와 사용자 계정으로 나눠지게 됩니다. 그러면 이 정보들은 어디에 저장되어 있을까요? 여러 설정들이 있지만, 그중에서 계정별 UID와 GID, 홈디렉터리, 로그인 쉘은 /etc/passwd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etc/passwd 해당 파일을 열어보면 각자의 시스템에 따라 여러 계정 정보가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root을 포함하고 있을 겁니다. (※ /etc/passwd의 소유주/그룹은 관리자 계정인 root이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계..

[Linux] How to assign or change a password to an account

How to assign or change a password to an account /etc/shadow How to assign or change a password to an account 계정을 관리하는 /etc/passwd에서는 계정의 비밀번호가 x로 표기되며 다른 곳에서 관리됩니다. 이 별도의 관리 파일이 /etc/shadow 입니다. shadow에서는 비밀번호뿐만 아니라, 해당 비밀번호에 대해 암호화 방식이나 가능 기간, 만료 기간등을 관리하게 됩니다. /etc/shadow 우선 아래와 같이 shadow의 속성을 확인해보면 $> ls -alt /etc | grep shadow 해당 권한이 소유주인 root (관리자 계정)만 read / write가 가능하고, shadow그룹에서는 read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