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 창고 420

[Ubuntu] Gateway 확인

$> ip route Window에서는 command창에서 ipconfig만 쳐도 게이트웨이를 확인 가능하지만 ubuntu의 경우 ifconfig를 해도 게이트웨이 확인이 어렵습니다. 때문에 Gateway 확인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3개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route $> netstat -r $> ip route 여기에서 route와 netstat -r은 동일한 결과가 나옴을 확인 가능하며, Flags가 의미하는 바는 아래오 같습니다. 여기서 UG는 (route is up + use gateway)가 되므로 Flags가 UG로 되어있는 게 사용 중인 게이트웨이라고 보면 됩니다. 참고로 netstate와 ifconfig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 sudo apt-get..

[Ubuntu] timezone 변경하기

$> sudo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Timezone 확인 서버를 처음 설치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UTC timezone을 사용하게 됩니다. $> timedatectl 이는 timezone 설정을 관리하는 /etc/localtime에 심볼릭 링크로 UTC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ls -l /etc/localtime 만약 원하는 timezone이 있다면 아래 명령을 통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 timedatectl list-timezones | grep Seoul 저는 timezones 목록 중에서 Seoul만 추출하였지만,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 timedatectl list-timzezones 호출 해도 됩니다. Timezone 설정 원하는 Tim..

[Ubuntu] 현재 폴더의 폴더 / 파일 개수 확인하기

# 하위 포함 전체 폴더 개수 (현재 폴더 (1) + 현재 폴더 내 폴더 개수 + 하위 폴더 내 폴더 개수) $> find . -type d | wc -l # 하위 포함 전체 파일 개수 (현재 폴더 내 파일 개수 + 하위 폴더 내 파일 개수) $> find . -type f | wc -l # 현재 폴더 내 폴더 개수 $> ls -l | grep ^d | wc -l # 현재 폴더 내 파일 개수 $> ls -l | grep ^- | wc -l Shell Script를 작성하거나 파일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현재 폴더 내 폴더 수량이라 파일 수량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 경우 해당 명령을 사용하여 파악 가능 합니다. ※ find . -type d | wc -l에서 현재 폴더도 폴더 개수에 ..

[Ubuntu] Cannot initiate the connection to kr.archive.ubuntu.com:80

# apt library source config 파일 open $> sudo vi /etc/apt/sources.list # vi 편집기에서 경로 일괄 변경 :%s/kr.archive.ubuntu.com/mirror.kakao.com/g # apt update $> sudo apt-get -o Acquire::ForceIPv4=true update Ubuntu에서 apt를 통하여 설치하려는 경우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는 해당 서버에서 library를 가져오는데 timeout이 발생하여 발생하곤 합니다. 이 경우 ubuntu서버에서 kakao서버 쪽으로 변경해 주면 잘됩니다. (case by case) $> sudo vi /etc/apt/sources.list 일괄 변경 : %s/kr...

[NodeJS] PayloadTooLargeError: request entity too large

express에 editor에서 전달된 정보를 전달하다 보니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request의 payload (Post의 request body) 내용을 파싱 할 때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request body를 parsing하는 기본 값은 100kb이므로 이상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위와 같이 오류를 발생하게 됩니다. 가장 베스튼느 100kb 이하로 통신을 하는 게 좋겠지만, 만약 상황이 여의치 않은 경우 해당 limit를 풀어주어야 합니다. 위와 같이 limit를 20mb로 해주면 request body의 최대 제한 용량은 20MB로 변경되게 됩니다.

[Flutter] Android toolchain 오류

# Android Studio - File - "Settings" 클릭 # Appearance & Behavior - System Settings - Android SDK - "SDK Tools - Android SDK Command-line Tools (lastest)" 체크 - "Apply" 클릭 - (다운로드되어있지 않다면 다운로드 진행) - "OK" 클릭 # doctor를 통하여 결과 확인 /> flutter doctor -v Android License status unknown에 대해서는 아래 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023.03.04 - [개발 창고/웹 개발] - [Flutter] Android toolchain 오류

[Flutter] How to troubleshoot Windows version errors

How to troubleshoot Windows version errors 해결 방법 How to troubleshoot Windows version errors Flutter는 flutter doctor -v를 통하여 오류를 확인 가능합니다. 이때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해결 방법 아래의 순서대로 실행해 줍니다. /> flutter upgrade /> flutter channel master /> flutter doctor -v 결과로 두 번째 항목에서 초록색의 체크가 생기며 정상처리 되었음을 확인 가능합니다. 이로써 Flutter 설치 시 Window 버전에 따른 Troubleshoot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Flutter] How to Install the Flutter Part 3/3

2023.02.23 - [개발 창고/Flutter] - [Flutter] How to Install the Flutter Part 1/3 [Flutter] How to Install the Flutter Part 1/3 1. SDK 다운로드 2. 압축해제 3. 환경변수 설정 4. 설정 확인 1. SDK 다운로드 https://docs.flutter.dev/get-started/install Install Install Flutter and get started. Downloads available for Windows, macOS, Linux, and ChromeOS operating syst royzero.tistory.com 2023.02.24 - [개발 창고/Flutter] - [Flutter] H..

[Eclipse] docBase를 찾지 못하는 오류

server.xml에 docBase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java.utils.concurrent.ExecutionException: org.apache.catalina.LifecycleException: Failed to start component [org.apache.catalina.webresources.StandardRoot...] 이 경우에는 tomcat의 server.xml에서 태그의 docBase를 확인해 줍니다. (만약 docBase를 하지 않은 경우 war로 패킹되는 파일의 명칭이 달라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아래의 /image 경로에서 사용될 D드라이브에 upload라는 폴더를 생성하지 않아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었습니다.

개발 창고/Web 2023.03.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