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55

[Linux] How to use "tar" command

How to use "tar" command 사용 예시 How to use "tar" command 리눅스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을 때 tar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tar는 Tape ARchiver의 앞 글자를 따서 "tar"라 불립니다. 흔히 tar명령어를 압축을 위한 명령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압축"도" 가능한 명령어라고 보는 게 더 맞습니다. tar가 압축하는 방식으로는 보통 -z (--gzip) 방식이나 -j (--bzip2)을 사용하며, 확장자도 압축 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누어 표기해 줍니다. (이는 필수는 아니며 권장 사항이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압축방식 확장자 공통 .tar gzip *.tar.gz *.tgz bzip2 *.tar.bz2 *.tbz2 주..

[Linux] How to use "ldd" command

How to use "ldd" command 사용 예시 How to use "ldd" command 커맨드 라인에 명시된 각 프로그램 또는 공유 라이브러리에서 필요로 하는 공유 라이브러리(shared libraries) 의존성을 확인하는 명령어 주요 옵션 내용 -d --data-relocs 데이터 리로케이션을 처리합니다. 오브젝트의 위치를 재배치하고 그 결과를 출력합니다. -r --function_relocs 데이터 및 함수 리로케이션을 처리합니다. 오브젝트와 함수의 위치를 재배치하고 그 결과를 출력합니다. -u --unused 사용하지 않는 직접 의존성을 표시합니다. -v --verbose 전체 정보를 표시합니다. 사용 예시 ▶ /bin/java의 의존성을 표시합니다. $> ldd /bin/java ▶..

[Linux] How to use "dmesg" command

How to use "dmesg" command 로그 파일 위치 사용 예시 How to use "dmesg" command 시스템 부팅 메시지를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또한 커널에서 출력 되는 메시지를 일정 수준 기록하는 버퍼 역할을 수행하며, 커널 부팅 중 에러가 발생하면 어느 단계에서 발생한 에러인지 찾는데 도움을 줍니다. 로그 파일 위치 /var/log/dmesg 사용 예시 ▶︎ 모든 메시지를 삭제하며 입력 이후에 새롭게 로그를 쌓음 $> sudo dmesg -c ▶︎ sda 하드 디스크 정보 확인 $> sudo dmesg | grep sda ▶︎ SCSI 타입의 하드 디스크 정보 확인 $> sudo dmesg | grep SCSI ▶︎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정보 확인 $> sudo dmes..

[Linux] How to use printer control

How to use printer control System V 계열 프린트 명령어 lp 명령어 lpstat 명령어 cancel 명령어 BSD 계열 프린트 명령어 lpr 명령어 lpq 명령어 lprm 명령어 lpc 명령어 프린터를 지원해주는 인쇄 시스템 LPRng CUPS How to use printer control lp와 lpr은 리눅스 시스템의 프린트 제어 명령어입니다. 둘의 차이는 해당 시스템이 System V 계열인지, BSD 계열인지에 따라 분류되게 됩니다. System V 계열 프린트 명령어 lp 명령어 프린터 디바이스 path를 사용하여 직접 인쇄할 수 있습니다. 주요 옵션 내용 -d 특정 프린터를 지정 -n 프린트 매수 지정 lpstat 명령어 프린터 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SwiftUI] How to Add Google Ads Plugins

How to Add Google Ads Plugins 1/ cocoapods 설정 2/ pod 프로젝트 생성 3/ Podfile 오픈 4/ Pod Update 5/ xcworkspace Open ERROR How to Add Google Ads Plugins 개인적으로 자주 까먹는 부분이라 기록성으로 남겨둡니다. 부디 이 글을 보시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cocoapods 설정 $> sudo gem install cocoapods cocoapods 설치 2/ pod 프로젝트 생성 $> cd {myWorkspace} $> pod install 3/ Podfile 오픈 $> open -a xcode Podfile 4/ Pod Update $> pod install --repo-update ..

개발 창고/iOS 2023.10.29

[Linux] How to use some log file

How to use some log file wtmp utmp btmp lastlog How to use some log file 이 전 글에서 lastlog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이번에는 lastlog를 포함하여 /var/log 폴더 내 있는 일부 로그들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wtmp /var/log/wtmp 성공한 로그인/로그아웃 정보를 담고 있는 로그 파일 콘솔, telnet, ftp등을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 기록, 시스템을 재부팅한 기록 등의 로그가 쌓이는 파일 바이너리 파일 last 명령어 utmp /var/log/utmp 현재 로그인 사용자 상태 정보를 담고 있는 로그 파일 w, who, finger 명령어 btmp /var/log/btmp 실패한 로그인 정보를 담고 있는 로그 파일 ..

[Linux] How to use "lastlog" command

How to use "lastlog" 사용 예시 관련 명령어 How to use "lastlog" command 로그 파일의 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명령어로 이 파일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마지막 로그인 시간, 호스트 명, 포트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주요 옵션 내용 -h --help 도움말을 보여주고 종료합니다. -t --time DAYS 지정한 날짜 단위(DAYS) 기간에 로그인한 정보만 출력 -u --user LOGIN 지정한 사용자 (LOGIN)의 lastlog 정보만 출력 사용 예시 ▶︎ 접속 전체 정보 출력 $> lastlog ▶︎ user1의 접속 정보 출력 $> lastlog -u user1 ▶︎ 30일 이내 로그인 정보 출력 관련 명령어 명령어 내용 last 로그인과 재부팅 로그 확인 (w..

[Linux] How to use "dd" command

How to use "dd" command 사용 예시 How to use "dd" command 파일을 변환하고 복사합니다. 연산자 내용 bs=BYTES 한 번에 최대 BYTES bytes까지 읽고 씁니다. cbs=BYTES 한 번에 BYTES bytes를 변환합니다. conv=CONV 쉼표(,)로 구분된 기호 목록에 따라 파일을 변환합니다. count=N N개의 입력된 블록만 복사합니다. ibs=BYTES 한 번에 최대 BYTES bytes까지 읽습니다. (기본값 512) if=FILE stdin 대신 파일을 읽습니다. iflag=FLAGS 쉼표(,)로 구분된 기호 목록에 따라 읽습니다. obs=BYTES 한 번에 최대 BYTES bytes까지 씁니다. (기본값 512) of=FILE stdout 대신..

[Linux] How to use commands related to file properties

How to use commands related to file properties lsattr 명령어 lsattr 사용 예시 chattr 명령어 chattr 사용 예시 How to use commands related to file properties 리눅스 시스템에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접근 권한 정책을 가지며, 이 권한 정책에는 사용자, 그룹, 기타 사용자로 나뉘어 집니다. 또한 파일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 ext2, ext3 등으로 나뉘어지며, 그 외에 다양한 정보에 따라 파일과 디렉토리의 정보가 정의됩니다. lsattr 명령어 파일의 속성을 조회하는 명령어 주요 옵션 내용 -R 디렉토리와 그 이하 모든 내용에 대해 재귀적으로 속성 값을 출력합니다. -V lsattr의 버전을 출력합니다. -a ..

[Linux] How to use "chkconfig" command

How to use "chkconfig" command Run Level chkconfing 디렉토리 chkconfig 등록 How to use "chkconfig" command CLI(Command-Line Interface) 기반의 명령형 프로그램으로 실행 레벨에 따른 서비스의 on/off 설정 목록을 출력하거나 설정합니다. Windows의 시작 프로그램 관리와 유사하며 각 Run Level에 따라 작동합니다. Run Level Run Level 의미 내용 0 Halt 시스템 종료 시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1 Single user mode 싱글 유저모드. 윈도우의 안전모드와 비슷한 개념 2 Multiuser, without NFS 다중 사용자 모드. NFS 지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