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인공지능(AI)이란 무엇인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사람의 지능적 활동을 컴퓨터가 흉내 내도록 만드는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우고, 판단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 일상적인 예시
- 네이버·구글에서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자동으로 추천 키워드가 나오는 기능
- 카메라가 자동으로 사람 얼굴을 인식하고 초점을 맞추는 기능
- 스마트 스피커(예: Google Home, 네이버 Clova)가 음성 명령을 이해하고 대답하는 기능
AI를 이해할 때는 약인공지능(Narrow AI) 과 강인공지능(AGI) 의 차이를 먼저 알아두면 좋습니다.
구분 | 특징 | 예시 |
---|---|---|
약인공지능 | 특정 분야에만 특화된 AI | 번역기, 추천 시스템, 얼굴 인식 |
강인공지능 | 인간 수준의 모든 지적 활동 가능 | 영화 속 ‘아이언맨의 자비스’ |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AI는 약인공지능입니다.
2. AI의 발전 역사
AI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기술이 아니라, 수십 년간의 연구와 실패를 거쳐 발전해왔습니다.
1950년대 – 태동기
- 앨런 튜링이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짐
- 튜링 테스트 제안 – 컴퓨터가 사람처럼 대화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1980~1990년대 – 전문가 시스템 시대
- 규칙(If-Then) 기반의 ‘전문가 시스템’이 등장
- 의료 진단, 산업 공정 자동화 등 제한된 분야에서 사용
2000년대 – 머신러닝의 부상
- 데이터와 컴퓨팅 파워 증가
- 통계·수학 기반의 머신러닝 기법 확산
2010년대 – 딥러닝 혁명
- 이미지넷 대회에서 딥러닝(CNN) 모델이 압도적 성능을 보임
- 음성 인식, 이미지 분석, 번역 기술 급속 발전
2020년대 – 생성형 AI 시대
- ChatGPT, Stable Diffusion, Midjourney 등 대규모 AI 모델 등장
- 텍스트, 이미지, 음악, 영상 생성 가능
3. AI의 주요 분야
-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데이터를 학습해 스스로 규칙을 찾고 예측하는 기술
예) 스팸 메일 필터, 판매량 예측 - 딥러닝(Deep Learning)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고도화된 머신러닝
예) 이미지 분류, 자율주행 자동차의 객체 인식 - 자연어 처리(NLP)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기술
예) 챗봇, 번역기, 감정 분석 -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이미지·영상을 인식하고 분석하는 기술
예) CCTV 이상행동 감지, 얼굴 인식 결제 - 생성형 AI(Generative AI)
새로운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를 만들어내는 기술
예) ChatGPT, Stable Diffusion, Suno AI
4. AI 활용 사례
- 제조업: 불량품 자동 검출, 예지 정비 시스템
- 의료: 암 진단 보조, 유전자 분석, 신약 후보 물질 발굴
- 금융: 부정 거래 탐지, 자동 투자 알고리즘
- 유통·마케팅: 맞춤형 추천, 재고 예측
- 콘텐츠 제작: 소설·시·기사 작성, 이미지·영상 합성
5. 실습 – 사전 학습된 AI 모델로 이미지 분류하기
AI를 처음 배울 때 가장 직관적인 예시가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 입니다.
아래 코드는 Python과 TensorFlow를 이용해, 인터넷에서 불러온 강아지 사진을 어떤 품종인지 예측합니다.
코드 예제 (검증 완료)
# 라이브러리 설치
# pip install tensorflow pillow requests
import tensorflow as tf
from tensorflow.keras.applications import MobileNetV2
from tensorflow.keras.applications.mobilenet_v2 import decode_predictions, preprocess_input
from tensorflow.keras.preprocessing import image
import numpy as np
import requests
from PIL import Image
from io import BytesIO
# 1. 사전 학습된 모델 로드 (ImageNet 데이터셋 기반)
model = MobileNetV2(weights="imagenet")
# 2. 예제 이미지 다운로드 (퍼그 사진)
url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a/Pug_600.jpg"
img_data = requests.get(url).content
img = Image.open(BytesIO(img_data)).convert("RGB").resize((224, 224))
# 3. 이미지 전처리
x = image.img_to_array(img) # 이미지 → NumPy 배열
x = np.expand_dims(x, axis=0) # 배치 차원 추가
x = preprocess_input(x) # 모델 입력 형식에 맞게 전처리
# 4. 예측
preds = model.predict(x)
decoded = decode_predictions(preds, top=3)[0]
# 5. 결과 출력
print("=== 예측 결과 ===")
for rank, (class_id, name, score) in enumerate(decoded, start=1):
print(f"{rank}. {name} ({score*100:.2f}%)")
실행 결과 예시
=== 예측 결과 ===
1. pug (98.64%)
2. bull_mastiff (0.65%)
3. Labrador_retriever (0.42%)
검증 완료: 해당 코드는 TensorFlow 2.15 환경에서 정상 작동하며, 결과는 실행 시점·환경에 따라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
6. 오늘의 요약
- 인공지능은 데이터를 학습해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 이미 우리의 일상 속에 깊이 들어와 있음
- AI는 규칙 기반 시스템 → 머신러닝 → 딥러닝 → 생성형 AI 순으로 발전
- 다양한 산업에서 AI는 효율과 정확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음
- 오늘 실습에서는 사전 학습 모델을 활용해 이미지 분류를 체험
7. 다음 시간 예고
다음 2차시에서는 머신러닝 기본 개념을 배웁니다.
지도학습·비지도학습·강화학습의 차이와 각 알고리즘의 특징을 예제로 살펴봅니다.
반응형
'개발 창고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전처리와 시각화: AI 모델 학습을 위한 필수 단계 (2) | 2025.08.14 |
---|---|
딥러닝(Deep Learning) 기본 개념: CNN과 RNN 이해하기 (2) | 2025.08.12 |
DQN으로 CartPole 정복하기: 딥러닝 기반 강화학습 입문 (5) | 2025.07.11 |
Q-Learning 기초부터 CartPole 적용까지: 강화학습 첫 번째 알고리즘 배우기 (6) | 2025.07.10 |
강화학습 쉽게 시작하기: OpenAI Gym으로 첫 AI 에이전트 만들기 (7)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