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ubernetes 38

쿠버네티스 인그레스(Ingress): 완벽 가이드 (NGINX 예제 포함)

설명: 쿠버네티스 인그레스(Ingress)의 개념, 작동 방식, 그리고 NGINX 인그레스 컨트롤러를 사용한 실용적인 예제를 통해 외부 트래픽을 클러스터 내부 서비스로 라우팅하는 방법을 심층적으로 알아봅니다. 실무자를 위한 핵심 가이드입니다. TL;DR: 쿠버네티스 인그레스(Ingress)는 클러스터 외부의 HTTP 및 HTTPS 트래픽을 클러스터 내부 서비스(Service)로 연결하는 규칙의 집합을 정의하는 API 객체입니다. 인그레스는 L7 로드 밸런서 역할을 수행하며, URL 경로 및 호스트 이름 기반 라우팅, SSL/TLS 종료, 가상 호스팅 등의 고급 기능을 제공합니다. 인그레스 리소스가 실제로 동작하려면 NGINX, Istio, Traefik과 같은 인그레스 컨트롤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는..

쿠버네티스 볼륨 완벽 가이드: PV, PVC, StorageClass 개념 분석

설명 (Description):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 데이터 영속성을 보장하는 볼륨(Volume)의 핵심 개념을 알아봅니다. PV, PVC, StorageClass의 관계와 동작 방식을 명확한 YAML 예제와 함께 실무자 수준에서 상세히 설명하여 안정적인 애플리케이션 운영을 돕습니다.TL;DR: 쿠버네티스 볼륨(Volume)은 컨테이너의 비영속적인 파일 시스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드(Pod)에 영구적인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핵심 기능입니다. 파드가 재시작되어도 데이터가 보존되도록 합니다. 스토리지 관리는 주로 PersistentVolume(PV), PersistentVolumeClaim(PVC), StorageClass 세 가지 오브젝트를 통해 추상화됩니다. 관리자는 PV로 실제 저장소..

개발 창고/AI 2025.09.22

쿠버네티스 노드포트(NodePort)란? 개념, 동작 방식 및 사용 사례 완벽 분석

설명 (Description): 쿠버네티스(Kubernetes) 노드포트(NodePort) 서비스의 개념과 핵심 동작 원리를 알아봅니다. ClusterIP, LoadBalancer와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명확한 YAML 예제를 통해 실무 사용법과 주의사항까지 실무자 수준에서 상세히 설명합니다. TL;DR: 쿠버네티스 노드포트(NodePort)는 클러스터 외부에서 내부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각 노드(Node)의 특정 포트를 개방하는 서비스 타입입니다. 모든 노드는 동일한 포트 번호(기본 범위: 30000-32767)를 사용하며, 사용자는 : 주소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노드포트는 주로 개발, 테스트, 데모 환경에서 서비스를 외부에 빠르고 간단하게 노출시킬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프로덕션 ..

쿠버네티스 동적 프로비저닝(Dynamic Provisioning) 쉽게 이해하기

설명 (Description): 쿠버네티스 스토리지 관리의 핵심, 동적 프로비저닝에 대해 알아봅니다. 정적 프로비저닝과의 차이점, StorageClass, PVC, PV의 관계와 실제 동작 방식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쉬운 예제 코드로 설명하여 스토리지 자동화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습니다.TL;DR쿠버네티스 동적 프로비저닝(Dynamic Provisioning)은 사용자가 스토리지(저장 공간)를 요청할 때마다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스토리지를 생성하고 연결해주는 기능입니다. 개발자가 필요한 스토리지의 종류와 크기를 PersistentVolumeClaim(PVC)으로 요청하면, 미리 정의된 StorageClass 템플릿에 따라 실제 스토리지와 이를 대변하는 PersistentVolume(PV)이 ..

쿠버네티스 레이블(Labels) 완벽 가이드: 개념부터 실전 베스트 프랙티스까지

설명 (Description): 쿠버네티스(Kubernetes) 레이블의 핵심 개념, 사용법, 셀렉터 연동 방식을 알아봅니다. 실무자를 위한 레이블 베스트 프랙티스와 어노테이션(Annotation)과의 명확한 차이점, 그리고 실제 YAML 예시 코드를 통해 쿠버네티스 리소스 관리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확인하세요.TL;DR쿠버네티스 레이블(Kubernetes Labels)은 파드(Pod),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등 쿠버네티스 객체(Object)에 첨부하는 키-값(Key-Value) 쌍의 메타데이터입니다. 이 레이블은 객체를 식별하고, 관련 있는 리소스 그룹을 필터링하거나 선택(Select)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environment: production이나 app: fronten..

쿠버네티스 파드(Pod)란 무엇인가?: 핵심 개념부터 YAML 예제까지

설명 (Description): 쿠버네티스(Kubernetes)의 가장 기본이 되는 배포 단위인 파드(Pod)의 정의와 핵심 개념을 알아봅니다. 컨테이너와의 관계, 작동 방식, 생명주기 및 실제 YAML 예제를 통해 초급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TL;DR: 쿠버네티스 파드(Pod)는 클러스터에서 실행되는 가장 작은 배포 단위입니다. 파드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그룹을 감싸는 논리적인 호스트 역할을 하며, 이 컨테이너들은 스토리지와 네트워크 같은 리소스를 공유합니다. 일반적으로 파드 하나에 컨테이너 하나를 실행하는 모델이 가장 흔하지만, 밀접하게 연관된 프로세스를 위해 여러 컨테이너를 함께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파드는 컨트롤러(예: Deployment)에 의해 관리되며, 자체적으로 복구 기..

카테고리 없음 2025.09.18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매니저: 클러스터 상태를 지키는 자동화의 핵심

설명 (Description):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매니저(kube-controller-manager)의 역할과 핵심 원리인 제어 루프(Control Loop)를 알아보세요. 노드, 레플리카셋, 디플로이먼트 등 다양한 내장 컨트롤러가 어떻게 클러스터의 '원하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지 심층적으로 설명합니다.TL;DR: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매니저는 컨트롤 플레인의 핵심 구성요소로, 클러스터의 전반적인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두뇌와 같습니다. 이 매니저는 여러 컨트롤러 프로세스를 하나의 바이너리로 묶어 실행하며, 각 컨트롤러는 특정 리소스의 '현재 상태(current state)'를 사용자가 정의한 '원하는 상태(desired state)'와 일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을 '제어 루프(Co..

Kubernetes Secret: 민감 정보 안전하게 관리하기

개요Kubernetes에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설정과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비밀번호, API 키, 토큰 등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다루는 방법이 바로 Secret 리소스입니다. 이 문서에서는 Secret의 개념, 생성 방법, Pod와의 연동 방식, 실무 적용 팁까지 깊이 있게 살펴봅니다.1. Secret이란?Kubernetes Secret은 암호화되거나 인코딩된 상태로 민감 데이터를 저장하고 Pod에 주입하는 리소스입니다.보안 강화를 위해 ConfigMap과 분리되어 사용base64 인코딩으로 저장되며, 암호화는 etcd 레벨에서 적용 가능Pod에 환경변수나 Volume 형태로 주입 가능2. Secret의 주요 사용 사례DB 접속 비밀번호 저장 및 주입외부 API 인증 토큰 관..

Kubernetes Job: 완전 종료 보장형 일회성 작업 관리

개요Kubernetes에서 Job 리소스는 일회성(One-time) 작업 또는 반복되지 않는 작업을 실행할 때 사용됩니다. 배치 처리, 마이그레이션, 데이터 변환 등 반드시 완료되어야 하는 작업에 매우 유용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Job의 개념부터 동작 방식, 구성 예제, 실무에서의 모범 사례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1. Job이란 무엇인가?Job은 하나 이상의 Pod를 생성해 작업을 수행하고, 그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감시하는 리소스입니다.Pod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Job도 완료로 간주됨실패한 경우 재시도 정책에 따라 다시 실행주로 일회성 데이터 처리에 사용✅ 예시 상황DB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 실행통계 처리용 파이썬 배치비정기적으로 수행되는 백업 또는 리포트 생성2. Job의 동작 방식Job은 다음과 ..

Kubernetes CronJob 완전 정복 : 정해진 스케줄에 반복 실행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목차CronJob이란?CronJob이 필요한 이유기본 구조와 동작 방식Job vs CronJob 비교기본 YAML 구성 예제스케줄 표현식(Cron 식) 이해하기실행 이력 관리(JobHistoryLimit)ConcurrencyPolicy & RestartPolicy실전 사용 시나리오운영 시 주의사항 및 팁자주 묻는 질문 (FAQ)요약 정리1. CronJob이란?Kubernetes CronJob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Job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설계된 컨트롤러입니다.리눅스 crontab처럼, 특정 작업을 주기적으로 자동 실행하며 백업, 로그 정리, 데이터 수집 등에 활용됩니다.2. 왜 CronJob이 필요한가?일회성 실행 이후 자동으로 종료되는 Job과 달리,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