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ow to configure Quota
리눅스 시스템에서 여러 계정을 할당하여 접속을 하는 경우, 특정 계정에서 예상하지 못한 저장 용량이나 파일 개수의 사용으로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 경우 각 계정별 저장 용량이나 파일 개수를 제한을 주어야 하는데, 이 때 사용하는 개념이 Quota입니다.
- Soft Quota
-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최소 공간
 - 설정된 유예기간 만큼 Soft Quota에서 정해진 공간을 초과하여 사용 가능
 
 - Hard Quota
-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공간
 - 정해진 공간을 초과할 수 없음
 
 
quota 명령어
사용자나 그룹 단위로 쿼터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

| 주요 옵션 | 내용 | |
| -u | --user | 계정별 Quota 정보 출력 | 
| -g | --group | 그룹별 Quota 정보 출력 | 
| -h | --help | 사용 문법 및 옵션 정보 간략 출력 | 
▶ user1 계정에 할당된 쿼터 설정 값 출력
$> quota user1
▶ group1 그룹에 할당된 쿼터 설정 값 출력
$> quota -g group1
edquota 명령어
Quota를 설정하는 명령어

| 주요 옵션 | 내용 | |
| -u | --user | 계정별 Quota 설정 | 
| -g | --group | 그룹별 Quota 설정 | 
| -p | --prototype=name | Quota가 설정된 기종 대상의 정보를 복사하여 적용 | 
| -t | --edit-period | soft limit을 초과한 경우 적용되는 grace(유예기간) 값을 설정 단위 : days, hours, minutes, seconds  | 
| -h | --help | 사용 문법 및 주요 옵션에 대한 정보 출력 | 
| 항목 | 내용 | 
| Filesystem | quota가 설정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 | 
| Block grace period | Block의 soft를 제한하였을 경우 유예기간 | 
| Inode grace period | Inode의 soft를 제한하였을 경우 유예기간 | 
setquota 명령어
쿼터를 설정하는 명령으로 vi편집기를 이용하는 대신 직접 명령행에서 설정

| 주요 옵션 | 내용 | |
| -u | --user | 사용자 Quota 설정 특정 옵션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이 옵션이 적용 됩니다.  | 
| -g | --group | 그룹 Quota 설정 | 
| -t | --edit-period | Soft Limit을 넘는 파일 또는 용량에 대해 유예기간(grace time) 설정 기본 단위는 초  | 
▶︎ /home에 user1 사용자의 용량 제한을 soft qutoa 2MB, hard quota 3MB로 설정하는 경우
$> setquota -u user1 2000 3000 0 0 /home
▶︎ /home의 quota에 대해 block의 유예기간을 1일, i-node는 8시간으로 지정
$> setquota -t 86400 28800 /home
requpota 명령어
파일 시스템에 설정된 Quota 정보를 출력해주는 명령어

| 주요 옵션 | 내용 | |
| -a | --all | /etc/filesystem에 있는 모든 파일 시스템에 관한 Quota 정보를 출력 | 
| -u | --user | 사용자별 정보 출력 | 
| -g | --group | 그룹별 정보 출력 | 
▶︎ /home 디렉토리에 설정된 그룹 Quota 정보 출력
$> repquota -g /home
▶︎ 파일 시스템 전체에 설정된 Quota 정보 출력
$> repquota -a
quotacheck 명령어
파일 시스템에서 Quota 관련 체크 명령어

| 주요 옵션 | 내용 | |
| -a | --all | 모든 파일시스템을 체크 | 
| -u | --user | 사용자별 Quota 관련 체크 | 
| -g | --group | 그룹별 Quota 관련 체크 | 
| -m | --no-remount | 재 마운트 하지 않음 | 
| -n | --use-first-dquot | 첫 번째 검색된 것을 사용 | 
| -v | --verbose |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줌 | 
반응형
    
    
    
  '개발 창고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How to use the "ln" command (0) | 2023.11.04 | 
|---|---|
| [Linux] How to check access account information (0) | 2023.11.04 | 
| [Linux] How to use the "touch" command (0) | 2023.11.03 | 
| [Linux] How to use the "locate" command (0) | 2023.11.02 | 
| [Linux] How to use NICE / RENICE (0)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