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에서 스토리지를 쉽게! Longhorn 완전 정복
Longhorn이란?
Longhorn는 Kubernetes 클러스터에 분산 블록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해,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백업할 수 있는 스토리지 솔루션입니다.
보통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은 계속 바뀌고 재시작되지만, 데이터는 어디 저장되지? 라는 질문이 생깁니다.
여기에 답이 바로 Longhorn입니다.
예시로 쉽게 설명해볼게요
당신이 블로그를 쿠버네티스에서 운영 중이라면, 글 내용은 어디 저장되나요?
이 데이터가 매번 삭제되면 곤란하겠죠.
Longhorn은 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디스크에 저장하고, 필요시 복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Longhorn의 주요 특징
- 간단한 설치: 몇 줄의 명령어만으로 설치 가능
- 웹 UI 제공: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대시보드
- 자동 복제 및 복구: 하나의 노드가 죽어도 다른 노드에서 데이터 유지
- 스냅샷 & 백업 지원: 데이터 보호 및 롤백 가능
Longhorn 설치 방법 (Helm 사용)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은 Helm을 이용한 설치입니다.
1. Helm 설치 (만약 아직 설치하지 않았다면)
cur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elm/helm/master/scripts/get-helm-3 | bash
2. Longhorn 네임스페이스 생성
kubectl create namespace longhorn-system
3. Longhorn Helm 리포지토리 추가
helm repo add longhorn https://charts.longhorn.io
helm repo update
4. Longhorn 설치
helm install longhorn longhorn/longhorn --namespace longhorn-system
Longhorn 대시보드 접속 방법
설치 후에는 웹 기반 대시보드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트 포워딩으로 접속
kubectl port-forward -n longhorn-system service/longhorn-frontend 8080:80
브라우저에서 아래 주소로 접속:
http://localhost:8080
여기서 볼륨 상태, 사용량, 복제본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onghorn 모니터링 방법
Longhorn은 기본적으로 Prometheus와 Grafana를 통한 모니터링을 지원합니다.
1. Prometheus Exporter 활성화
Longhorn 설치 시 Helm 값에 다음을 추가하면 됩니다:
defaultSettings:
telemetryOpt: true
serviceMonitor:
enabled: true
또는 설치 후 Longhorn UI
> Settings
> Telemetry
항목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2. Grafana 대시보드 가져오기
Grafana에서 다음 ID를 통해 Longhorn용 대시보드를 추가하세요:
- Dashboard ID:
13032
(Longhorn 공식 대시보드)
Grafana에서 "Import Dashboard" 기능을 통해 바로 시각화 가능합니다.
마무리
Longhorn은 쿠버네티스에서 운영 중인 데이터의 영속성(Persistence) 문제를 해결해주는 강력한 툴입니다.
특히 백업, 복제, 복구 기능까지 갖추고 있어 프로덕션 환경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위 과정을 따라 하면 생각보다 쉽게 적용 가능합니다.
'개발 창고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기본개념: 쿠버네티스를 이해하는 첫걸음 (2) | 2025.07.13 |
---|---|
Kubernetes란 무엇인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시작 (4) | 2025.07.12 |
Argo CD란? 쿠버네티스 배포 자동화의 핵심, 쉽게 이해하기 (1) | 2025.06.23 |
How to handle high volume traffic (4) | 2024.08.12 |
[CentOS] How to use tar (43)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