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창고/Server

Kubernetes란 무엇인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시작

Royzero 2025. 7. 12. 22:00
반응형

들어가며

우리는 매일 수많은 웹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합니다. 그 뒤에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인프라가 돌아가고 있죠.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컨테이너(Container) 기술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서비스를 더 유연하고 빠르게 배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컨테이너가 많아질수록 이를 관리하는 일은 복잡해집니다.

이 복잡함을 해결해주는 자동화된 관리 시스템이 바로 **Kubernetes(쿠버네티스)**입니다.
마치 수많은 배(컨테이너)를 항구에서 이리저리 잘 조정하며 움직이는 항해 관리자처럼, 쿠버네티스는 수많은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관리하고, 자동으로 회복시켜주는 시스템입니다.


1. 쿠버네티스가 필요한 이유

컨테이너를 잘 관리하고 있던 우리는 왜 쿠버네티스를 도입해야 할까?

컨테이너는 개발자에게 매우 매력적인 도구입니다.
한 번 만들어 두면 어디서든 똑같이 실행할 수 있고, 기존의 가상 머신보다 훨씬 가볍습니다. 하지만 컨테이너를 실제 서비스에 사용하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예시: 컨테이너 없이 서버를 관리하던 시절

  • 블로그, 쇼핑몰, 메신저 서비스 등 다양한 앱을 각각 서버에 배포
  • 서버가 죽으면 사람이 직접 가서 다시 켜야 함
  • 서비스가 많아질수록 서버 수도 많아짐
  • 서비스 업데이트, 버전 관리, 자원 배분도 일일이 수작업

예시: Docker로 컨테이너를 도입한 경우

  •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앱을 가볍게 실행 가능
  • 코드 변경 후 빠르게 이미지 재빌드 & 배포
  • 서버 간 이식성 증가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현실적인 문제

  • 컨테이너가 수십, 수백 개로 늘어나면 관리가 어려워짐
  • 어떤 컨테이너가 어디서 도는지 파악이 어려움
  • 컨테이너가 죽으면 자동 복구가 안 됨
  • 로드 밸런싱, 서비스 디스커버리(서로 찾기) 문제 발생
  • 롤링 업데이트, 모니터링, 자원 스케줄링도 직접 처리해야 함

이때 필요한 것이 쿠버네티스입니다.
Kubernetes는 이런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해주는 컨테이너 관리 자동화 시스템, 즉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터입니다.


2. Kubernetes의 정의

Kubernetes는 Google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서 관리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공식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Kubernetes is an open-source system for automating deployment, scaling, and management of containerized applications.

즉,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확장, 운영 관리하는 작업을 자동화해줍니다.


3. Kubernetes를 쉽게 이해해보자

컨테이너 = 배

컨테이너는 특정 서비스를 실행하는 하나의 독립된 배라고 생각해봅시다. 이 배는 어디서든 출항할 수 있고, 비교적 가볍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 = 항구 관리자

Kubernetes는 이 수많은 배들을 자동으로 배치하고, 문제가 생기면 대체해주며, 전체 항구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총지휘관 역할을 합니다.

예시 시나리오

  • 10개의 컨테이너(Pod)를 3개의 서버(Node)에 자동 배분
  • 어떤 서버 하나가 다운되면, 다른 서버에 컨테이너를 다시 띄움
  • 사용자가 많아지면 자동으로 컨테이너 수를 늘림 (Auto Scaling)
  • 업데이트 시 1개씩 순차적으로 재배포 (Rolling Update)

4. Kubernetes의 핵심 기능

  1. 자동 복구(Self-healing)
    컨테이너가 실패하면 자동으로 다시 실행

  2. 자동 배포와 롤백
    새 버전 배포 시 서비스 중단 없이 점진적으로 반영. 문제가 생기면 롤백 가능

  3. 서비스 디스커버리와 로드밸런싱
    컨테이너 간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 트래픽도 자동 분산

  4. 수평적 확장(Horizontal Scaling)
    CPU 사용률이 높으면 자동으로 컨테이너 수 증가

  5. 비밀 정보 및 설정 관리(Secrets & ConfigMaps)
    비밀번호, API 키 등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앱에 전달

  6. 자원 최적화 스케줄링
    서버 자원을 고려해 가장 적절한 위치에 컨테이너를 배치


5. Kubernetes를 구성하는 요소

Kubernetes는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구성요소입니다.

구성요소 역할
Node 컨테이너가 실제로 실행되는 서버
Pod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로 구성된 실행 단위
Deployment 컨테이너 배포 및 업데이트 전략
Service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및 로드밸런싱
Volume 데이터 저장 공간
Namespace 리소스 구분을 위한 논리적 구획
Ingress 외부 트래픽을 내부로 연결하는 역할
ConfigMap / Secret 설정 값 및 민감한 정보 저장

6. 쿠버네티스를 쓰면 좋은 경우

  • 서비스가 자주 배포되고 자동화가 필요한 경우
  • 서비스 규모가 커지면서 컨테이너 수가 많아지는 경우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채택한 경우
  •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한 경우
  • 클라우드 환경에서 멀티 노드를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할 경우

7. 쿠버네티스가 어려운 이유

쿠버네티스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학습곡선이 높은 기술입니다.

  • 수많은 개념: Pod, ReplicaSet, Deployment, Service 등
  • 추상화된 계층이 많음
  • 설정 파일(YAML)이 복잡함
  • 네트워크 구조가 생소함

하지만 이것을 시리즈를 통해 하나씩 배워가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8. 다른 오케스트레이션 툴과의 비교

기능 / 툴 Kubernetes Docker Swarm Nomad
복잡도 높음 낮음 낮음
확장성 매우 높음 중간 높음
커뮤니티/생태계 매우 활발 중단됨 적음
기능 매우 풍부 제한적 유연한 구조
사용처 기업용, 대규모 서비스 개인/소규모 HashiCorp 기반 환경

현재는 Kubernetes가 사실상 업계 표준입니다.


9. 실제 기업 적용 예시

  • Netflix: 마이크로서비스 운영을 위해 자체 쿠버네티스 환경 운영
  • Spotify: 개발자용 배포 플랫폼 Backstage와 연동
  • Airbnb: 다양한 언어로 구성된 서비스들을 자동으로 배포 및 스케일링
  • 네이버, 카카오, 배달의민족 등 국내 기업들도 적극 활용

10. 마무리 요약

Kubernetes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강력한 도구입니다:

  • 컨테이너를 많이 쓰는 환경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서비스
  • 배포 자동화, 트래픽 분산, 장애 복구 등 인프라 자동화가 필요한 조직

이번 글에서는 Kubernetes의 필요성, 개념, 구성요소, 기능까지 개괄적으로 살펴봤습니다. 다음 차시부터는 Kubernetes의 기본 개념과 핵심 용어들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배워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