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ow to use "rpm" command
Fedora나 CentOS 등의 레드햇 계열 리눅스 OS에서는 프로그램 설치를 RPM(RedHat Package Manager)를 통해서 수행합니다. rpm패키지는 rpm명령어나 yum명령어를 통해 설치 가능합니다.

| 주요 옵션 | 내용 | |
| -i | --install | 패키지 설치 |
| -U | --upgrade=<패키지파일>+ | 패키지 업그레이드 |
| -e | --erase=<패키지>+ | 패키지 삭제 |
| -v | --verbose | 설치 시 상세 정보를 출력 (-i / -U / -e와 함께 사용) |
| -h | --hash | 패키지 설치를 해시마크(#)로 표시 (-v 옵션과 함께 사용 권장) |
| --nodeps | 패키지의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음 (-i / -U / -e와 함께 사용) | |
| --replacepkgs | 기존 설치된 동일 패키지가 있으면 교체 (-i / -U와 함께 사용) | |
| --replacefiles | 기존 설치된 동일 파일이 있으면 파일 교체 (-i / -U와 함께 사용) | |
| --force | 강제로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진행 (-i / -U와 함께 사용) | |
| --oldpackage | 새로 설치할 패키지가 기존 설치된 패키지 보다 낮은 버전의 패키지이더라도 설치 (다운그레이드 시 사용) (-U와 함께 사용) | |
| --test | 실제 삭제하지 않고 삭제 시 의존성 문제 확인 (-e와 함께 사용) | |
패키지 정보 확인
특정 패키지 정보 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들의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 주요 옵션 | 내용 |
| -a | 시스템에 설치된 전체 패키지 정보 확인 |
| -i | 설치된 패키지 상세 정보 확인 |
| -ip | rpm 파일의 상세 정보 확인 |
| -R | 설치된 패키지 의존성 확인 |
| -Rp | rpm 파일의 의존성 확인 |
| -l | 설치된 패키지 파일 경로 확인 |
| -lP | rpm 파일의 설치 파일 경로 확인 |
| -f | 특정 파일의 설치 패키지 명 확인 |
| -d | 문서 파일만 보여 줌 |
| -c | 설정 파일만 보여 줌 |
사용예시
▶︎ nginx 패키지의 환경 설정 파일을 빠르고 간편하게 찾을 수 있음
$> rpm -qc nginx

반응형
'개발 창고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How to use the "locate" command (0) | 2023.11.02 |
|---|---|
| [Linux] How to use NICE / RENICE (0) | 2023.11.02 |
| [Linux] How to use "kill" command (0) | 2023.11.01 |
| [Linux] How to use "tar" command (2) | 2023.10.31 |
| [Linux] How to use "ldd" command (0)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