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ow to use "tar" command
리눅스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을 때 tar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tar는 Tape ARchiver의 앞 글자를 따서 "tar"라 불립니다. 흔히 tar명령어를 압축을 위한 명령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압축"도" 가능한 명령어라고 보는 게 더 맞습니다.
tar가 압축하는 방식으로는 보통 -z (--gzip) 방식이나 -j (--bzip2)을 사용하며, 확장자도 압축 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누어 표기해 줍니다. (이는 필수는 아니며 권장 사항이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 압축방식 | 확장자 |
| 공통 | .tar |
| gzip | *.tar.gz *.tgz |
| bzip2 | *.tar.bz2 *.tbz2 |

| 주요 옵션 | 내용 | |
| -c | --create | 신규 아카이브 생성 |
| -d | --diff, --compare | 아카이브와 파일 시스템간 차이점 검색 |
| -r | --append | 아카이브의 마지막에 이어서 파일들 추가 |
| -t | --list | 아카이브 내 포함된 내용 출력 |
| -u | --update | 아카이브 내 변경된 파일들만 추가 |
| -x | --extract, --get | 아카이브로 부터 파일들을 추출 |
| -f | --file=ARCHIVE | 사용할 아카이브 파일이나 디바이스 아카이브를 지정 |
| -j | --bzip2 | 아카이브를 bzip2로 압축 |
| -J | --xz | 아카이브를 xz로 압축 |
| -z | --gzip, --gunzip, --ungzip | 아카이브를 gzip으로 압축 |
| -C | --directory=DIR | 대상 디렉터리 경로 지정 |
| -v | --verbose | 아카이브 생성 또는 추출되는 과정을 자세히 나열 |
| -w | --interactive, --confirmation | 모든 진행 과정을 대화형으로 진행 |
사용 예시
▶︎ foo와 bar를 archive.tar로 묶어줍니다.
# foo와 bar 파일 생성
$> touch foo
$> touch bar
# foo와 bar를 묶은 archive.tar 아카이브 생성
$> tar -cvf archive.tar foo bar
# 결과 확인
$> ls -alt | grep archive.tar

▶︎ archive.tar에 묶여있는 파일 목록을 봅니다.
# archive.tar 아카이브에 들어있는 파일 목록 확인
$> tar -tvf archive.tar

▶︎ archive.tar에 묶여있는 파일들을 추출해 봅니다.
# archive.tar에 묶여있는 파일들을 추출해 봅니다.
$> tar -xvf archive.tar
# 해제된 foo와 bar 파일 확인
$> ls -alt | grep -e foo -e bar

반응형
'개발 창고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How to use "rpm" command (0) | 2023.11.01 |
|---|---|
| [Linux] How to use "kill" command (0) | 2023.11.01 |
| [Linux] How to use "ldd" command (0) | 2023.10.31 |
| [Linux] How to use "dmesg" command (0) | 2023.10.30 |
| [Linux] How to use printer control (2) | 202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