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Infrastructure 117

리소스 - Part1: 레플리카셋(ReplicaSet)

들어가며: Pod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방법Kubernetes에서 Pod는 일시적으로 종료되거나 재시작될 수 있는 단위입니다.운영 환경에서는 지정된 수의 Pod가 항상 실행 중이어야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이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리소스가 바로 ReplicaSet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다룹니다.ReplicaSet이란?ReplicaSet과 Pod의 관계ReplicaSet YAML 작성법Pod 개수를 조절하는 방법(스케일링)Deployment와의 차이점목차 (Table of Contents)ReplicaSet이란?ReplicaSet의 핵심 기능ReplicaSet vs DeploymentReplicaSet YAML 구조ReplicaSet 생성 및 확인ReplicaSet 스케일링실습..

AI/Infrastructure 2025.07.31

네트워킹 - Part4: 네트워크 모델 살펴보기

들어가며: Kubernetes 네트워크의 복잡성 이해하기Kubernetes 클러스터에서는 Pod, 노드, 서비스가 서로 통신해야 하며, 이러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규칙을 Kubernetes 네트워크 모델이라 부릅니다.이 모델은 단순한 IP 통신을 넘어서, 서비스 디스커버리, DNS, CNI(Container Network Interface) 플러그인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포함합니다.이번 글에서는:Kubernetes 네트워크 모델의 핵심 개념Pod 간 통신 방식과 원리노드 간 통신과 CNI 플러그인 역할서비스 및 DNS와의 관계목차 (Table of Contents)Kubernetes 네트워크 모델이란?Pod 간 통신 원리노드 간 네트워킹CNI(Container Network Interface)란?Ser..

AI/Infrastructure 2025.07.30

네트워킹 - Part3 정리

들어가며: 서비스 타입 총정리지난 시간에 다룬 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ExternalName은 Kubernetes 네트워킹의 핵심 요소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각 서비스 타입의 특징, 활용 사례, 장단점을 한눈에 정리하고, 서비스 선택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목차 (Table of Contents)서비스 타입 요약ClusterIP 정리NodePort 정리LoadBalancer 정리ExternalName 정리서비스 타입 선택 가이드실습: 서비스 타입 변경하기FAQ (Answer Engine Optimization)핵심 요약마무리1. 서비스 타입 요약타입접근 범위주요 사용 사례ClusterIP내부 통신 전용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NodePort외부 접근개발/테스트 환경Loa..

AI/Infrastructure 2025.07.29

네트워킹 - Part3: 서비스 타입 알아보기

들어가며: 서비스 타입의 필요성Kubernetes에서 Service는 Pod에 대한 안정적인 네트워크 접근을 제공하지만, 서비스를 외부로 노출하거나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사용하도록 조정하기 위해 다양한 타입이 존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ExternalName 등 주요 서비스 타입의 특징과 활용 방법을 살펴봅니다.목차 (Table of Contents)서비스 타입이란?ClusterIP: 내부 통신 전용NodePort: 노드 포트를 통한 외부 접근LoadBalancer: 클라우드 로드밸런서ExternalName: 외부 서비스 DNS 연결서비스 타입 비교표YAML 예시로 살펴보기FAQ (Answer Engine Optimization)핵심 요약마무리1..

AI/Infrastructure 2025.07.28

네트워킹 - Part2: 서비스의 역할

들어가며: Service는 단순한 로드밸런서가 아니다많은 초보자들은 Kubernetes Service를 단순히 로드밸런서 정도로 이해합니다.하지만 Service는 Pod IP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이고 일관된 네트워크 접점을 제공하며, kube-proxy와 함께 작동하여 트래픽 라우팅을 관리하는 핵심 리소스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다룹니다.Service의 주요 역할과 동작 방식kube-proxy와 Endpoints의 관계Service와 DNS 연동Service 동작 흐름 이해하기목차 (Table of Contents)Service의 핵심 역할kube-proxy의 역할Endpoints와 Service 관계Service와 DNS 통합Service 동작 흐름실습: 서비스와 엔드포인트 확인FAQ (..

AI/Infrastructure 2025.07.27

네트워킹 - Part1: 서비스 리소스 살펴보기

들어가며: Pod와 외부 트래픽 연결 문제Kubernetes에서 Pod는 기본적으로 동적 IP를 사용합니다.Pod가 재시작되면 IP가 변경되기 때문에, 외부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이 문제를 해결하는 리소스가 바로 Service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을 다룹니다:Kubernetes Service의 개념과 필요성Service가 Pod와 통신하는 방식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소개YAML 예제와 실습 방법목차 (Table of Contents)Kubernetes Service란 무엇인가?왜 Service가 필요한가?Service의 주요 특징ClusterIP: 기본 내부 서비스NodePort: 외부 접근LoadBalancer: 클라우드 환경의 ..

AI/Infrastructure 2025.07.26

Pod 살펴보기 - Part7: Pod의 건강상태는?

들어가며: Pod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이유는?쿠버네티스에서 Pod는 항상 정상적으로 실행된다고 가정할 수 없습니다.애플리케이션이 죽지 않았지만 응답이 느리거나, 트래픽을 받을 준비가 안 된 경우도 존재합니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ubernetes는 Liveness Probe, Readiness Probe, Startup Probe라는 건강 체크(Health Check)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다룹니다:Pod 상태 관리의 기본 개념Liveness, Readiness, Startup Probe 차이점실습 가능한 YAML 예제운영 환경에서의 활용 전략목차 (Table of Contents)Pod 상태 관리란?Probe의 종류와 역할Liveness Probe 설정Readines..

AI/Infrastructure 2025.07.25

Pod 살펴보기 - Part6: 컨테이너 한 개로는 부족해

들어가며: 왜 컨테이너가 하나로 부족할까?일반적으로 하나의 Pod에는 하나의 컨테이너만 배포됩니다.그러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서는 메인 애플리케이션 외에도 로깅, 모니터링, 프록시 등의 보조 컨테이너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Kubernetes에서는 이런 패턴을 위해 멀티 컨테이너 Pod를 지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멀티 컨테이너 Pod의 필요성대표 패턴 (Sidecar, Ambassador, Adapter)실습 가능한 YAML 예시운영 시 주의사항목차 (Table of Contents)멀티 컨테이너 Pod란?왜 멀티 컨테이너 Pod를 사용해야 할까?멀티 컨테이너 Pod 설계 패턴Sidecar 패턴 예제멀티 컨테이너 Pod YAML 예시운영 시 주의사항FAQ (Answer Engine Optimiz..

AI/Infrastructure 2025.07.24

Pod 리소스 관리: Requests, Limits, QoS 완벽 이해하기

들어가며: Pod의 리소스 관리는 왜 중요할까?쿠버네티스 환경에서 Pod가 사용하는 CPU나 메모리를 제한하지 않으면, 자원 과다 사용으로 인해 다른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를 예방하기 위해 쿠버네티스는 리소스 Requests와 Limits를 제공하여 컨테이너별 자원 사용량을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다룹니다:Requests와 Limits의 개념과 차이점QoS 클래스 (Guaranteed, Burstable, BestEffort)실습 가능한 YAML 예시운영 환경에서 리소스 관리 전략1. Requests와 Limits란 무엇인가?Requests컨테이너가 최소한으로 보장받아야 하는 리소스스케줄러가 Pod를 배치할 때 Requests 값을 기반으로 노드 자원..

AI/Infrastructure 2025.07.23

Pod에 정보 전달하기: ConfigMap과 Secret 완벽 가이드

들어가며: Pod에 환경 정보를 전달하려면?쿠버네티스를 운영하다 보면 **애플리케이션 설정값(환경변수)**이나 비밀번호, API 키 같은 민감한 정보를 Pod에 전달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이런 데이터를 Pod 이미지 안에 하드코딩하거나 YAML에 직접 넣는 것은 보안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매우 위험합니다.이 문제를 해결하는 Kubernetes의 솔루션이 바로 ConfigMap과 Secret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다룹니다:ConfigMap과 Secret의 차이점환경변수, 파일 마운트를 통한 정보 전달 방법보안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팁실습 가능한 YAML 예시1. ConfigMap이란?ConfigMap은 비민감한 설정 데이터를 Key-Value 형태로 관리하는 리소스입니다.애플리케이션의 설정값(..

AI/Infrastructure 2025.07.22
반응형